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3.3℃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5.8℃
  • 구름많음대전 15.9℃
  • 구름많음대구 15.5℃
  • 흐림울산 15.7℃
  • 광주 15.8℃
  • 부산 16.1℃
  • 흐림고창 16.2℃
  • 제주 18.1℃
  • 흐림강화 12.4℃
  • 흐림보은 15.2℃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4.7℃
  • 흐림경주시 14.0℃
  • 흐림거제 14.9℃
기상청 제공

전남도, 31일 장흥 빠삐용zip서 ‘전남 콘텐츠 페어’ 개막

3일간 로컬콘텐츠 전시·체험·토크콘서트 등 즐길거리 풍성

 

(누리일보) 전라남도는 31일부터 3일간 장흥 빠삐용zip 일원에서 로컬 콘텐츠 전시와 체험, 토크 콘서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2025 전남 콘텐츠 페어’가 열린다고 밝혔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이한 콘텐츠페어는 전남도와 장흥군이 주최하고 전남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한다.

 

전남 콘텐츠산업의 성과를 확산하고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콘텐츠 창작자와 기업, 도민이 함께 즐기는 축제로 기획됐다.

 

개최 장소인 빠삐용zip은 2015년 폐쇄된 옛 장흥교도소다. ‘더글로리’, ‘슬기로운감빵생활’, ‘1987’, ‘프리즌’ 등 100여 편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하다.

 

지난 7월 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축제 기간 입장료 없이 무료 개방된다.

 

수감복을 입고 재소자의 하루 일과를 체험하는 ‘교도소24시’ 프로그램도 현장 접수를 통해 즐길 수 있다.

 

또한 콘텐츠페어 기간 빠삐용zip 일원은 웹툰·애니메이션·캐릭터·미디어아트·메타버스·스토리·게임 등 7개 콘텐츠 전시·체험존과, 대학존, 지자체·유관기관 홍보관을 운영한다.

 

31일 오후 2시 개막식에서는 ‘남도 K-컬처 글로벌로 나아가는 로컬의 힘’이라는 주제영상을 상영하고, 2025년 전남 콘텐츠산업 발전 유공자에게 표창을 수여한다.

 

전남 콘텐츠 혁신대상과 스토리 공모전, 장흥군 홍보 콘텐츠 공모전을 통한 우수작 시상, ‘콘텐츠로 미래의 문을 여는 전남’을 표현한 개막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한다.

 

전시·체험존에서는 글로벌게임센터, 콘텐츠코리아랩, 메타버스지원센터 등과 협업해 40여 개의 지역 콘텐츠기업과 창작자의 우수 콘텐츠를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다.

 

미디어아트 쇼룸에서는 전남지역 전시관과 박물관에서 설치된 특색 있는 미디어아트 7종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외에도 방탈출(도둑을 잡아라), 미디어나눔버스(더빙) 체험,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와 ‘레디액션!’ 등 놀이 프로그램과 다양한 부대행사도 펼쳐진다.

 

‘파인’, ‘미생’, ‘내부자들’을 저술한 윤태호 작가의 ‘꿈과 진로사이 웹툰작가로 사는 자세’를 주제로 한 토크콘서트도 진행된다.

 

세부 프로그램과 일정 등은 2025 전남콘텐츠페어 공식 인스타그램(https://www.instagram.com/jeonnam_contentsfair_202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가 신청은 네이버 폼(https://naver.me/GEi4ddFQ 'https//naver.me/GEi4ddFQ')을 통해 가능하다.

 

강효석 전남도 문화융성국장은 “남도 문화에는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한 대중성이 녹아 있다. 로컬 콘텐츠를 발굴하는 것이 전남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라며 “다양한 볼거리를 준비해 관람객 모두가 특별한 경험을 하도록 2025 전남 콘텐츠 페어 준비에 온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다시 돌아온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경상원 “소비자 편의 위해 절차·혜택 대폭 개선”
(누리일보) 지난 6월 경기도 내 400여 개 상권이 참여해 최대 20%의 페이백을 지급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 다시 찾아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하반기 통큰 세일을 오는 22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행사는 상인들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백 방법을 간소화했으며 혜택도 늘렸다. 지난 상반기에는 상권별로 마련된 페이백 부스에서 종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조건 충족 시 지류 온누리 상품권 또는 경품 등을 지급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부 현장의 불만이 발생했고 실제로 민생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내용이 지속 화두에 올랐다. 이후 경상원은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상인회가 행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를 활용해 자동 페이백 시스템을 구축했고 결제부터 페이백까지 한 번에 이뤄지도록 개선했다. 하반기부터는 소비자가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면 페이백이 사용자 지역화폐로 자동 입금된다. 실물카드 없이 지역화폐 애플리케이션 ‘지역상품권 착’(Chak)으로 운용하는 성남, 시흥시도 지역화폐 앱 결제 시 똑같이 적용된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