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남 실업률 역대 최저, 경제지표 지속적 상승세

실업률 1.2%로 99년 시도별 통계조사 이래 최저

 

(누리일보) 경상남도는 경남 경제지표가 고용률은 8월 기준 역대 최고치, 실업률은 1999년 최초 통계조사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고, 제조업의 생산과 대외거래는 11개월 연속 흑자를 바탕으로 여전히 순항 중이라고 밝혔다.

 

(고용지표) 8월 경남 고용지표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전년동월대비 상승세를 기록했다.

 

8월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1.1%p 상승한 62.2%로 98년 1월 시도별 통계조사를 시작한 이래 8월 기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남성 고용률은 69.7%로 전년동월대비 1.1%p 하락했으나, 여성 고용률은 54.7%로 전년동월대비 3.4%p 상승했다.

 

8월 실업률은 전년동월대비 1.4%p 하락한 1.2%로 99년 6월 시도별 통계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 실업률은 2.0%이며 경남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은 실업률이다.

 

8월 취업자는 176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5천명(1.4%) 증가했으며, 남성 비중이 높은 제조업․건설업 취업자수 감소로 남성 취업자는 줄고 건강·돌봄수요 확대로 여성 취업자는 증가했다. 실업자는 2만 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6천명(-55.4%) 감소했다.

 

(무역수지) 8월 경남 무역수지는 12억 3천만 달러 흑자로 지난해 10월 흑자로 전환한 이후, 11개월 연속 흑자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출은 선박(49.5%), 승용차(1,039.9%), 무기류(302.5%) 등이 강세를 보였고, 자동차 수출 호조가 이어지며 선가 상승분이 반영된 고부가가치 선박의 인도와 미국의 가전제품 수요가 수출을 견인했다.

 

(산업별 생산) 7월 경남 생산은 기타 운송장비(조선 등) 21.2%, 자동차 및 부품 2.7%, 금속가공 6.6% 증가했으나 기계는 4.5% 감소했다.

 

(소비) 8월 경남지역 소비자심리지수는 105.4로 전월에 비해 1.3p 하락했으나 5개월 연속 기준선 100 이상을 기록하며, 도민들이 경제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8월 경남 소비자물가지수는 112.47로 폭염에 따른 농산물․과일 가격 상승과 국제유가 상승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했다.

 

김상원 경남도 경제인력과장은 “최근 경남이 조선업을 비롯한 도내 주력산업 중심으로 생산과 수출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고, 그에 따라 고용상황도 사상 유례없이 좋아졌다”며 “이러한 성장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산업인력난과 기업애로 해소 등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누리일보)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