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동두천 7.7℃
  • 구름조금강릉 12.8℃
  • 맑음서울 9.4℃
  • 맑음대전 10.8℃
  • 맑음대구 12.6℃
  • 맑음울산 10.7℃
  • 구름많음광주 11.4℃
  • 구름조금부산 12.9℃
  • 구름조금고창 10.6℃
  • 구름많음제주 13.4℃
  • 맑음강화 7.8℃
  • 맑음보은 10.4℃
  • 맑음금산 10.3℃
  • 구름많음강진군 12.2℃
  • 구름조금경주시 8.8℃
  • 맑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재외동포청, 제27회 재외동포 문학상 시상식 성황리에 마무리

수상자 전원 2박3일 간 모국 초청…국내 문인들과의 교류·문화체험 프로그램 진행

 

(누리일보) 재외동포청은 1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제27회 재외동포 문학상 시상식 및 수상자 초청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올해로 27번째를 맞이한 재외동포 문학상은 한글 문학 창작을 통해 재외동포의 정체성을 고취하고, 재외동포와 우리 국민들 간의 문화적 소통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공모전이다.

 

금년에는 총 61개국 965명이 2,467편을 접수해, 응모자가 전년도 대비 91%가 증가하며 사상 최대의 참가율을 보였다.

 

이번 시상식에는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시·단편소설·수필 3개 부문, 총 12명의 수상자가 참석했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수상자 전원을 초청해 국내 문인들과의 교류 및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김경협 재외동포청장은 18일 수상자들과 오찬을 함께하며 수상을 축하했다.

 

이 자리에서 김경협 청장은 “금년도에 처음으로 수상자 전원을 한자리에 모시고 행사를 개최하게 되어 더욱 의미가 깊다”며, “앞으로도 작품활동을 통해 한국 문학의 위상을 높이고 한국과의 유대를 계속 이어나가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19일 서울 종로 교원투어 콘서트홀에서 열렸으며, 변철환 재외동포청 차장이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변철환 차장은 “재외동포 작가의 글들이 지구 곳곳에서 한민족의 정신을 이어가고, 세계 속의 한국 문학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며, “재외동포 문학이 한국을 넘어 전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으며, 다양한 사람들에게 창작의 영감을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수상자들은 시 부문 대상 수상자 박태인, 단편소설 부문 대상 수상자 김혜진을 비롯해 모두 뜻깊은 고국 초청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특히 수필 부문 대상 수상자 김지현은 “낯선 땅에서 살아오며 목소리를 잃고 존재를 잊었다고 생각했는데, 내가 쓴 글이 누군가에게 공감을 주었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기쁘다”고 전했다.

 

시상식 후 윤소라 성우의 ‘수상작 낭독회’에 이어, 우한용 작가의 특강, 구효서․박상우 작가와 수상자들 간 ‘작가와의 대화’가 이어져, 재외동포 문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강을 진행한 우한용 작가는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디아스포라로서의 삶을 설명하며, 다중적 주체성을 확보해 나가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자 했다.

 

작가와의 대화에 참여한 구효서 작가는 재외동포를 소재로 한 소설 ≪랩소디 인 베를린≫과 언어학적 관점에서 디아스포라를 탐구한 작품 ≪동주≫를 소개했다. 박상우 작가는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 집필 경험을 회고하며, “우리의 언어를 문학으로 승화하는 일이야말로 한국어를 보존하는 가장 의미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해, 재외동포 문학이 한국어와 한국 문학에 기여하는 바를 깊이 되새기게 했다.

 

이와 더불어, 첫째 날과 셋째 날에는 서울도서관 등에서 재외동포 문학상 수상작을 소개하는 연계행사를 개최하고, 윤동주 문학관, 남산도서관을 방문하는 등 재외동포 작가들이 모국의 문화와 문학 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참가자들은 “이번 문학상 초청행사를 통해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모국과 연결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제27회 재외동포 문학상 수상작품집 『2025 재외동포 문학의 창』은 재외동포청 홈페이지(ok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디오북은 서울도서관 및 남산도서관 내 비치된 다운로드 서비스 안내문, 그리고 다운로드 사이트(buly.kr/6ii8yAD)를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또한, 시상식 및 작가와의 대화 영상은 재외동포청 유튜브(youtube.com/@OKAKOREA)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