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12.2℃
  • 맑음서울 12.4℃
  • 구름많음대전 11.0℃
  • 흐림대구 10.8℃
  • 흐림울산 12.7℃
  • 흐림광주 11.4℃
  • 흐림부산 14.4℃
  • 흐림고창 9.0℃
  • 흐림제주 15.6℃
  • 맑음강화 7.1℃
  • 흐림보은 8.4℃
  • 흐림금산 8.6℃
  • 흐림강진군 10.7℃
  • 흐림경주시 10.1℃
  • 흐림거제 11.8℃
기상청 제공

충남콘텐츠진흥원, 충남음악창작소 송캠프 통해 협업 창작 음원 2곡 발매

지역 뮤지션 협업과 전문 프로듀서 멘토링으로 완성도 높은 결과물 선보여

 

(누리일보) 충남콘텐츠진흥원(원장 김곡미) 충남음악창작소는 지역 음악인의 창작력과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한 ‘송캠프(Song Camp) 프로그램’의 결과물 2곡을 11월 7일 정식 발매했다고 밝혔다.

 

이번 송캠프는 충남음악창작소 발굴 뮤지션이 2인 1팀으로 구성, 일정 기간 공동 창작을 진행하는 협업형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단순한 교육이나 워크숍을 넘어, 실제 음원 발매까지 이어지는 실무형 창작 인큐베이팅 방식으로 기획되어 참여자들에게 실질적인 창작 경험을 제공했다.

 

이번 결과물로 총 2팀의 협업 음원이 공개됐다. 첫 번째 곡 ‘Sweetie Creamy’는 준홍과 윤시얀이 함께 만든 팝 장르 곡으로, 달콤한 멜로디와 경쾌한 리듬이 특징이다. 특히 걸그룹 ‘미쓰에이(Miss A)’ 민(Min)이 피처링으로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두 번째 곡 ‘Lily’는 박공원과 젠다(Zenda)가 협업한 감성적인 R&B 곡으로, 래퍼 타이미(Tymee)가 피처링해 세련된 분위기와 음악적 깊이를 더했다.

 

송캠프는 전문 프로듀서진이 함께 참여해 창작자들의 음악적 성장을 지원한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총괄 프로듀서 빨간머리앤(Red Anne)이 참여해 제작 방향을 총괄했으며, Maxx Song(송서호)과 Nomasgood(유영준)이 팀별 멘토로 참여해 작·편곡과 보컬 프로듀싱 등 제작 전 과정을 지도했다. 이를 통해 지역 뮤지션들은 개성 있는 음악을 전문적 수준으로 완성할 수 있었다.

 

충남콘텐츠진흥원은 이번 송캠프를 통해 지역 내 음악 창작자 발굴부터 협업, 제작, 발매까지 이어지는 선순환형 창작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음악창작소 내 전문 스튜디오와 장비, 교육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실질적인 제작 중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음악산업의 기반 확충에 앞장서고 있다.

 

김곡미 원장은 “이번 송캠프를 통해 충남의 젊은 음악인들이 서로 협업하며 자신만의 색깔을 담은 곡을 완성한 것은 지역 음악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진흥원은 앞으로도 창작 지원부터 유통,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지는 충남형 음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송캠프 결과물인 ‘Sweetie Creamy’와 ‘Lily’는 멜론, 지니, 스포티파이 등 주요 음원 플랫폼에서 만나볼 수 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화성특례시의회 김종복 의원 5분 자유발언, “여성친화도시에 반하는 화성특례시 행정기구 개편안” 우려
(누리일보) 화성특례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김종복 의원(동탄4·5·6동)은 12일 열린 ‘제246회 화성시의회 정례회 2차 본회의’5분 자유발언을 통해 2026년도 구청 체제 운영에 따라 이번 정례회 때 심의 예정인‘행정기구 개편안’에 우려를 나타냈다. 김 의원은 먼저 “현재의 여성다문화과를‘저출생대응과’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화성시가 그간 추진해 온 여성정책의 근본적인 지향점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여성다문화과가 수행해 온 여성정책은 사회참여 확대, 성별 격차 해소, 일자리 확대 등을 목표로 점차 발전해왔지만, 명칭 변경으로 인하여 여성정책의 목표가 출산 정책의 수단으로 취급하거나 가임기 여성 중심의 지원 정책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김 의원은 “저출산대응과의 정책 우선순위가 출산율 위주로 재편된다면 여성의 권익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은 뒷전으로 밀려난다”며 “여성다문화과 기능의 조정은 시민적 합의와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며, 일방적인 행정적 관점을 넘어 여성 인권과 평등의 관점에서 방향성을 수립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20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