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1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상국립대학교 창업콘서트, “AI 시대, ‘직업’ 아닌 ‘업(業)’ 찾아야”

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선호 대표, ‘AI시대, 업직(業職)의 시대’ 주제 특강

 

(누리일보) 경상국립대학교 창업중심대학사업단은 10월 30일 칠암캠퍼스 16동 대강당에서 대학 주력산업 분야 전공생 및 창업에 관심 있는 청년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 주력산업 분야 창업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모든 산업의 표준이 되는 대전환 시대를 맞아, 대학 주력산업 분야(우주항공, 정밀기계 등) 학생들에게 ‘창업’을 미래의 진로 선택지로 제시하고 잠재력 있는 예비창업자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번 행사는 경상국립대학교 개교 77주년 기념 ‘산학협력 비전선언식(GNU 칠암의 선언)’과 연계하여 진행되어 그 의미를 더했다.

 

행사는 1부 키노트 강연과 2부 스페셜 토크쇼로 진행됐다.

 

1부에서는 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선호 대표(엑소플래닛)가 ‘AI 시대, 정해진 답을 넘는 창업의 길’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이 대표는 “과거에는 성공으로 가는 정답의 길이 있었지만, AI 시대는 성공을 알 수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라고 진단하며, “하지만 이 불확실성이야말로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기회의 시대”라고 역설했다.

 

그는 “과거에는 스페셜리스트가 정답이었다면, 지금은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것의 교집합을 찾는 ‘제네럴리스트’의 시대”라며, “정해진 직업(職)을 찾는 것이 아닌, 나만의 업(業)을 정의하고 그에 맞는 직을 찾는 ‘업직(業職)의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2부 스페셜 토크쇼에서는 ‘케이엘스페이스’ 공선우 이사, 경상국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이진아 청년 등이 패널로 참여하여 이선호 대표와 함께 심층 대담을 나눴다.

 

패널들은 ‘AI와 우주항공 창업’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경상국립대학교가 해당 분야 창업에 많은 교육 및 실질적 지원을 하고 있어 창업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는 점에 공감했다.

 

이 외에도 패널들은 “AI를 이길 수 있는 인간 고유의 영역은 결국 ‘행복’한 삶을 주체적으로 사는 것”이라는 철학적 화두를 던지며 학생들과 깊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우주항공공학부 학생은 “늘 정해진 길을 가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는데,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업’을 찾는 ‘제네럴리스트’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에 큰 용기를 얻었다. 막연한 불안감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바뀌었다.”라며 높은 만족감을 표했다.

 

최병근 경상국립대학교 창업중심대학사업단장은 “이번 창업콘서트가 학생들에게 AI라는 도구를 활용해 ‘정해진 답’을 넘어 자신만의 ‘업’을 찾는 ‘패러다임 시프트’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사업단은 주력산업 분야와 미래 기술을 융합하는 양질의 창업 프로그램을 통해 잠재력 있는 ‘제네럴리스트’형 예비창업자 발굴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경상국립대학교 창업중심대학사업단은 매년 초 (예비)창업기업을 모집하며, 선정된 (예비)창업기업에게는 연간 4000만 원에서 최대 2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전문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경기도의 역할은? 경기도, ‘2025 인구포럼’ 개최
(누리일보) 경기도는 31일 노보텔 엠배서더 수원에서 ‘다시 세우는 인구미래,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2025 경기도 인구포럼’을 개최했다. 도민과 전문가, 기업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은 저출생, 고령화, 주거, 가구구조 변화 등 인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조발제를 맡은 고우림 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연구부교수는 ‘최적의 선택을 위한 도구, 인구학’을 주제로 강연했다. 고우림 교수는 “인구 감소 자체가 문제가 아니고 제도와 정책이 인구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인구변화대응 지체현상’이 문제”라며 “국토 균형 활용으로 지역마다 기능을 부여해 지역별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첫 번째 발표자인 이진희 포스코플로우 경영기획실 리더는 “포스코플로우는 전 직원이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사용할 수 있게 했으며 육아휴직 부서에 대체직원을 지원하는 등 가족출산친화 문화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며 “육아휴직이 공백이 아닌 또다른 청년 지원자의 경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산업별로 공동 대체인력 풀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고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