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대전 서북부 상습정체구간 구조개선사업 3개 전략 사전대책만으로도 가시적 효과

빅데이터 활용, 개선 전후 교통 흐름 분석 완료

 

(누리일보) 대전시는 ‘구암교차로 신설’을 통한 상습정체구간 구조개선사업이 사전대책만으로도 가시적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했다.

 

시는 9월 29일 2030년 구암교차로 신설을 포함하는‘유성IC~구암역삼거리 상습정체 구간 구조개선사업’을 발표하고, 본격 추진에 앞서 즉각적인 개선 효과를 위한 4대 사전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주요 내용은 ▲BRT 연결도로 임시개통 ▲침신대네거리 차로 수 확보 ▲반석네거리 횡단보도 ▲유성복합환승센터 진입도로 임시 개설 등이다. 이중 내년 준공 예정인 유성복합환승센터 진입도로를 제외한 3개 전략은 지난 10월 1일까지 모두 완료됐다.

 

대전시는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선 전·후 교통 흐름을 분석한 결과, 반석네거리 횡단보도 삭제가 이뤄진 9월 12일을 기준으로 침신대네거리 ~ 노은지하차도 구간의 상·하행 통행속도가 출·퇴근 시간대 모두 향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출근 시간 기준 상행은 13.79km/h→13.87km/h(△1%), 하행은 15.41km/h→20.08km/h(△30%)로 개선됐으며, 퇴근 시간에도 상행 19.36km/h→20.43km/h(△6%), 하행은 13.73km/h→16.73km/h로 22% 향상됐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 효과도 뚜렷했다. 충남대학교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운행하는 M1 노선은 출·퇴근 시간 모두 평균 4분씩 소요 시간이 단축됐다.

 

대전시 관계자는 “임시 개통 이전과 유사한 차량 통행 여건을 조기에 확보했으며, 오는 24일부터 B2, 119 버스노선이 추가돼 연결성과 정시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미흡한 구간도 있었다. 같은 기간 구암교네거리~구암역삼거리 구간은 통행속도가 이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시는 이에 대해 “임시 개통 이후 이용하는 박산로 연결도로가 왕복 2차선이기 때문에 효과가 제한적이며, 유성IC 네거리는 구암교네거리와 구암역삼거리까지 종합적인 구조개선이 필요하다”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2026년 12월까지 사전 전략 중 하나인 유성복합터미널 진입도로(2단계)가 완공되면 구암교네거리 일원 통행 차량의 약 20%가 분산돼 서북부 정체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향후 BRT 연결도로가 호남지선을 통화하도록 하고, 유성생명고 삼거리 입체화를 포함한 구암교차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미래 교통수요까지 고려한 종합 교통체계를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화성시미디어센터 시민미디어제작단, 제7회 경기마을미디어 성과공유회 공모전 2개 부문 수상
(누리일보) 화성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안필연) 화성시미디어센터의 시민미디어제작단이 ‘제7회 경기마을미디어 성과공유회’ 공모전에서 지역기반우수활동상(경기콘텐츠진흥원장상) 등 2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성과공유회는 10월 16일 수원시미디어센터에서 열렸으며, 경기도 내 마을미디어 활동가들과 탁용석 경기콘텐츠진흥원장, 지역 미디어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상식이 진행됐다. 시민미디어제작단 ‘위드미’ 팀은 작품 ‘동탄6동에 모인 사람들’로 지역기반 경기마을미디어 우수활동상(경기콘텐츠진흥원장상)을 수상했다. 또한 경기도 내 우수 활동 사례를 발표하는 ‘피칭데이’ 부문에서도, 우수 발표팀으로 선정되어 경기콘텐츠진흥원장상을 추가로 수상했다. 화성시민미디어제작단은 화성시미디어센터의 콘텐츠 제작교육, 장비 및 시설 지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영상과 오디오 콘텐츠로 제작하며 시민 중심의 미디어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안필연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 이야기를 발굴하고 기록한 노력의 결과”라며,“앞으로도 시민들이 자유롭고 창의적인 미디어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