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부산시립미술관은 별관 '이우환 공간'의 개관 10주년을 맞아 10월부터 다양한 시민참여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미술관은 ▲방명록 이벤트 ▲온라인 퀴즈 이벤트 ▲찻자리 체험 ▲10주년 기념 공연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방명록 이벤트] 이우환 공간과 함께한 10년의 추억을 방명록으로 공유하는 행사로 10월 19일까지만 진행한다.
이우환 공간 내 ‘카페숍’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인상 깊은 방명록을 남긴 참여자 50명을 선정해 기념품을 증정한다.
[온라인 퀴즈 이벤트] 이우환 공간과 관련한 퀴즈 이벤트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쉽게 참여할 수 있다.
10월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되며, 정답을 맞춘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30명에게 기념품을 발송한다.
[찻자리 체험] 이우환 공간 내 위치한 ‘카페숍’에서 차를 마시며 오감을 깨운다.
공간을 몸과 마음으로 새롭게 느껴보고 공간에 대한 참여자들의 관람평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다.
[10주년 기념 공연] 이우환의 작품세계에 감응한 작곡가의 창작곡과 작가에게 영감을 준 곡들을 선보인다.
작가의 작품세계가 지닌 울림을 음악으로 창작하여 시각과 청각을 아우르는 예술적 경험을 선사한다.
'이우환 공간'은 작가가 공간의 기본설계부터 작품 배치, 사소한 사무집기까지 직접 디자인한 특별한 공간으로, 하나의 작품과 같은 건축물이다.
2015년 4월 개관했으며 연면적 1,400.83 제곱미터(㎡), 지하 1층에서 지상 2층 규모이다.
2010년 일본 나오시마 ‘이우환 미술관’의 개관 이후, 한국 여러 도시가 유치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부산시는 시민공원 부지를 후보지로 내세워 공간 유치에 나섰다.
부산시와 부산 미술인들의 꾸준한 설득과 작가가 학창 시절을 보낸 도시라는 점이 작가의 마음을 움직였고, 2013년 7월 ‘이우환 공간’ 건립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작가는 다수의 작품을 기증하여 공간의 상설 운영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이우환(1936년~) 작가는 경남 함안에서 태어나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격변 속에서 성장했다.
부산 경남중학교에 재학하여 부산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195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동양화)에 입학한 뒤 같은 해 일본으로 넘어가, 1961년 니혼대학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1967년 일본 도쿄 사토화랑에서 개인전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이우환은 평론 '존재와 무를 넘어서―세키네 노부오론' 등에서 ‘만들기·형상 산출’ 중심의 관념을 비판했다. 작가는 작품을 사물과 공간, 시간, 관람 상황이 맺는 관계의 장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했다.
이는 ‘모노하’를 이해하는 핵심 준거가 됐으며 동시에 한국 단색화 담론과 영향을 주고 받았다.
또한 작가는 현재 한국, 일본, 프랑스 등 전 세계에서 활동 중이며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미술상, 일본 세계문화상 등 다수를 수상했다.
행사 관련 자세한 일정은 추후 보도자료와 부산시립미술관 공식 누리집 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순차적으로 안내될 예정이다.
서진석 부산시립미술관장은 “이우환 공간은 작가가 직접 설계한 독창적인 건축물이자 부산의 중요한 문화 자산”이라며 “개관 10주년을 맞아 시민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공간과 작품을 새롭게 경험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