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광주시농업기술센터는 산하 6개 농민상담소를 중심으로 지역 농업인을 최일선에서 지원하며 맞춤형 품목 발굴과 영농 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특화 활력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사업은 로컬푸드 활성화와 함께 폭염·장마 등 기후변화 대응에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농민상담소장이 직접 주도해 국내 육성 K-품종을 보급하고 기후 대응 농법을 도입한 결과 농가와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남한산성면에서는 잎들깨 ‘새봄’, 껍질째 먹는 고구마 ‘통채루’, 사과 ‘이지플’·‘아리수’ 등 국내 육성 신품종을 시범 보급했다. 또한, 오전리 지역 이미지를 반영한 ‘모닝고추’와 ‘모닝글로리(공심채)’를 선보이며 차별화된 지역 브랜드 가치를 창출했다.
아울러, 드론을 활용한 비닐하우스 차광 페인트 도포, 지온 조절 효과가 높은 기능성 부직포 필름 멀칭 등 신기술을 도입해 여름철 안정적인 채소 생산을 지원했다. 이 같은 시도는 가을 김장채소 생육에도 긍정적 효과를 보여 지역 농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광주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현장을 가장 잘 아는 농민상담소장이 주도해 국내 육성 신품종 보급과 기후 대응 농법을 적용한 성과가 크다”며 “앞으로도 농가 소득 향상과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지역특화 활력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