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경상남도와 경남사회서비스원은 고령화 및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비대면 돌봄서비스인 '경남형 AI 온하나 케어 지원사업'을 시범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남사회서비스원은 8월 7일, 시니어 케어 전문기업 NHN의 자회사인 와플랫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도내 5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기반의 상시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온하나 케어’는 ‘따뜻함(온, 溫)’과 ‘통합(하나)’의 의미를 담은 명칭으로, 와플랫이 개발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독사 예방 ▵건강 모니터링 ▵복약 알림 ▵인지기능 훈련 ▵여가 콘텐츠 제공 등 ICT 기반의 통합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매일 정기 알림으로 생활 반응을 확인하고, 24시간 이상 스마트폰 사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AI 케어알림을 발송하며, 무응답 시 유선전화를 통해 응급 상황에 대응하도록 설계돼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수행기관 공모를 거쳐 오는 9월부터 본격 운영되며, (경상남도) 사업 홍보 및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 행정적 지원 ▵(경남사회서비스원) 사업 총괄기관으로서 계획 수립, 수행기관 관리, 교육 및 성과평가 ▵(NHN 와플랫) 모바일 플랫폼과 관제시스템 운영, 실무자 교육 등을 맡는다.
경남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돌봄 공백 해소, 복지 인력 부담 완화, 건강관리 효율성 제고 등 다양한 효과를 검증한 후, 사업 확대 방안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조철현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장은 “기술 기반의 맞춤형 돌봄으로 현장 인력의 부담을 줄이고, 당사자 중심의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전범식 경남도 복지정책과장은 “AI 기반 돌봄서비스로 도내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디지털 복지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