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부산시는 15분도시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락방' 캠페인을 추진하며 생활권 문화공간 발굴에 나섰다고 밝혔다.
시는 지역 공동체가 모이고 자발적 활동할 수 있는 민간 운영 생활권 문화공간을 발굴하고,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다락방’ 캠페인을 지난 1월부터 캠페인 누리집 및 유튜브,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진행 중이다.
지난 4월 진행한 ‘생활권 문화공간’ 모집에서 70여 곳의 공간이 접수됐으며, 대표 공간 19곳이 최종 선정됐다.
내일(1일)부터 8월 3일까지는 지역별 생활권 문화공간과 15분도시 공동체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락방 위크'를 개최한다.
‘다락방 위크’는 3개의 주제(테마)로 3곳의 대표공간*에서 진행된다. 음악, 연극, 독서,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장르의 공동체 모임 활동을 체험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운영 중인 공동체 참여를 비롯,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주 내용으로 구성해 누구나 15분도시 공동체에 대해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다락방 위크’에는 최근 발대식을 가진 15분도시 부산 시민참여단 ‘십오야 부산’의 참여도 예정돼 있어 15분도시 정책 홍보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시는 기존 15분도시 핵심(앵커)시설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시민 행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15분도시 핵심(앵커)시설인 ‘들락날락’은 어린이들의 교육·놀이·문화체험 공간으로 부산 어린이들의 대표 미래놀이터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하하센터’는 은퇴한 신노년층이 자조적 동아리를 만들어 그 활동들이 사회에 환원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ESG)센터’에서는 새활용(업사이클링) 과정에서의 환경교육을 통한 세대이음공간으로서 자리매김 중이다.
15분도시 핵심(앵커)시설과 함께 민간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따뜻한 공동체 활성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지난해(2024년) 12월 15분도시 핵심사업인 제1차 해피챌린지 당감개금권 사업을 준공해 선형공원, 백양가족공원, 개금숲길공원 등에서는 플리마켓, 걷기대회, 마을축제 등으로 공동체 활성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번 다락방 캠페인도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을 활용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15분도시 시정 철학과 같은 맥락으로 진행된다.
박광명 시 대변인은 “15분 도시의 정책 비전은 행복한 공동체로 삶의 질이 높은 매력적인 삶터 만들기”라며, “공공영역을 넘어 민간영역까지 15분도시의 따뜻한 공동체 가치가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