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부산시의회 '저출산대응 의원연구모임' ‘부산 인구소멸 대응·정주여건 마련 방안’ 세미나 개최

청년 유출·저출산 해법, 교육·일자리·정주 환경 혁신에 달려

 

(누리일보) 부산광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저출산대응 정책연구모임'(대표 최영진 의원, 사하구1)은 7월 28일 시의회에서 ‘부산 인구 소멸 대응과 정주 여건 마련 방안’ 세미나를 개최하고, 부산의 인구감소 문제와 청년 정착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연구모임 소속 부산시의원 7명과 국제신문 권용휘 기자가 참석해, 부산의 인구감소 현실, 청년들의 경험과 인식, 정주 여건 개선 방안 등에 대해 깊이 있는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권용휘 기자는 ‘부산 유턴 청년 30인’ 인터뷰 결과를 발표하며 “부산에 정착한 청년 다수가 현재 생활에는 만족하지만, 자녀까지 부산에 남게 하고 싶다는 응답은 절반에도 못 미쳤다”고 밝혔다.

 

주요 이유로는 수도권에 비해 ▲교육 및 취업 기회의 한계 ▲지역 대학의 경쟁력 저하 ▲양질의 일자리 부족 등이 지적됐다.

 

권 기자는 “현재 부산에 정착한 청년들조차 자녀의 미래를 생각할 때는 서울 등 타지 진학과 취업을 고민한다”며 “단순 지원금보다 교육·산업·일자리 생태계 혁신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부산은 조선, 해양, 금융 등의 분야에서 특화된 경쟁력을 지닌 만큼, 관련 학과 신설과 기업 유치, 미래산업(에이징테크 등)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서울 주요 대학의 캠퍼스 유치, 스타트업 및 혁신 산업 지원,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토론에서는 “최근 수년간 청년 정책 예산이 대폭 확대됐으나, 청년 유출과 출생률 하락은 여전하다”는 아쉬움과 함께, “정책의 방향을 단순 예산 지원에서 벗어나, 교육·취업·미래비전 등 실질적 기회 제공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최영진 대표의원은 “인구감소와 저출산 문제는 단순한 재정지원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며, “부산만의 산업·교육·문화 경쟁력을 키우고, 청년과 가족 모두가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저출산연구모임은 저출산문제 극복 방안 모색을 위해 2023년 결성됐으며, 최영진 의원(사하구1, 행정문화위원회)을 대표로 정채숙 의원(비례대표, 행정문화위원회), 황석칠 의원(동구2, 행정문화위원회), 박철중 의원(수영구1, 행정문화위원회), 윤태한 의원(사상구1, 복지환경위원회), 조상진 의원(남구1, 건설교통위원회), 김광명 의원(남구4,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서국보 의원(동래구3, 기획재경위원회) 총 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경기도의회 김선영 의원, 경인방송 '박성용의 시선공감' 생방송 출연해 지역화폐 확대 필요성 강조
(누리일보)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김선영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비례)은 28일 저녁, 경인방송 ‘박성용의 시선공감’에 출연해 지역화폐 확대 정책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며, “지역화폐는 단순한 소비 수단이 아닌, 위축된 지역경제를 회복시키는 촘촘한 연결망이자 공동체 회복의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방송에서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는 절박하다”라고 전한 후, “단골이 끊기고 매출이 줄었다는 상인들의 하소연이 지역화폐로 다시 손님을 맞이하는 희망의 이야기로 바뀌고 있다”라고 현장의 생생한 상황을 전했다. 이어 “지역 안에서 소비가 돌고 도는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로 지역화폐의 역할이며, 지역 공동체의 생존과도 직결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특히 김선영 부위원장은 단순한 재정지원이 아닌 지역 내 소비 유도 구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지역화폐로 물건을 사면, 그 소비는 또 다른 상인의 매출이 되고, 다시 지역 일자리로 이어지며 한 번의 소비가 여러 차례 지역 내부를 순환하는 구조가 바로 ‘경제 선순환’”이라며, “이 구조가 튼튼해질수록 자영업자는 버틸 수 있고, 지역경제의 체력도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