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최기상 의원, 기초생활수급자 전체 인구 대비 5% 돌파, 금수저 미성년자 금융소득액 6,482억 원 넘어

기초생활수급자 2018년 이후 계속 증가해 2024년 2,673,485명 전체 인구의 5.2% 차지

 

(누리일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기초생활수급자는 2018년 1,743,690명(전체 인구 중 3.38%), 2019년 1,881,357명(3.63%), 2020년 2,134,186명(4.12%), 2021년 2,359,672명(4.56%), 2022년 2,451,458명(4.74%), 2023년 2,554,627명(4.94%)으로 매년 증가했고, 2024년에는 2,673,485명(5.2%), 2025년 8월 기준 2,777,460명(5.4%)로 2024년 이후 전체 인구 대비 5%를 넘었다.

 

특히 청소년기(12~19세), 청년기(20~39세), 중년기(40~64세), 노년기(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계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022년 대비 2025년 8월에 노년기 기초생활수급자가 25.4% 증가해 가장 큰 폭이었다. 이어 청년기가 9.7% 증가했다.

 

한편 최기상 의원이 받은 국세청 자료를 보면, 2023년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포함한 금융소득이 있는 미성년자는 5,009,883명으로 총액은 6,482억 원이 넘었다. 2019년 4,485억 원에서 44.5% 증가한 수치이다. 2023년 금융소득이 있는 12세 이상 미성년자는 2,568,570명으로 금융소득이 있는 미성년자 전체의 51.3%를 차지했다. 청소년기(12세~19세) 기초생활수급자가 2022년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2023년 임대소득이 있는 미성년자는 3,313명이었고 그 금액은 593억 6800만 원으로 나타났다. 12세 이상 미성년자는 전체의 65.8%(2180명)이다.

 

1인당 GDP가 3만 6천 달러(2024년)인 시대를 살고 있지만 생활고를 겪는 기초생활수급자 수는 2025년 약 278만 명 규모인 반면에, 미성년자 금융소득과 임대소득은 증가하고 있다.

 

최기상 의원은 “민주공화국에서 부와 가난의 ‘세습’은 매우 부적절한 경계해야 할 단어이다. 개인의 노력보다 물려받은 부가 자산 형성을 결정하는 미성년자의 부의 세습은 다음 세대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물려줘야 하는 우리의 중요한 해결 과제이다”라며 “부와 가난의 대물림을 해소하고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 빈곤을 개인의 책임이라기보다 사회 구조적 맥락에서 바라보는 인식 전환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 “너희 존재 자체로 완벽하다”… 파주 한가람 중 찾아 청소년들에게 희망과 존중의 메시지 전해
(누리일보)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국민의힘, 파주1)은 15일 파주 한가람중학교에서 열린 경기도교육청 주관 ‘찾아가는 생명존중 콘서트’에 참석해 학생들과 함께 생명의 소중함과 희망의 메시지를 나눴다. 이번 콘서트는 경기도교육청이 청소년 자살 예방과 생명존중 문화 조성을 위해 추진 중인 순회형 문화 프로그램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도내 5개 학교를 순회하며 열린다. 파주에서는 고준호 의원의 노력으로 한가람중학교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학생과 교직원, 학부모 등 7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인 체육관은 음악과 웃음, 그리고 서로를 향한 따뜻한 응원으로 가득 찼다. 이날 무대는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아티스트들로 꾸며져 가수 골든차일드 이장준, 그룹 노라조, 조빈, 우디, 그라비티, 잭브라이언 등이 출연해 음악과 퍼포먼스로 생명의 소중함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고준호 의원은 축사를 통해 “요즘 세상은 빠르고, 경쟁은 치열하다. 그 속에서 우리는 종종 ‘나’의 가치를 잊고, 남이 정한 기준에 나를 맞추려 애쓴다. 하지만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미 완벽한 이유가 있다”며 “생명존중은 거창한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