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폭이 3m에 불과하여 주민들과 방문객들에게 교통 불편과 사고위험의 원인이 됐던 남양주 팔당리 앞술막마을 지하통로(통로암거) 확장 문제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정을 통해 해결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30일 오후 유철환 위원장 주재로 현장조정회의를 개최하고 30년 동안 차량 통행에 큰 불편을 주었던 지하통로의 폭을 확장하고 그 연결된 도시계획도로도 함께 넓히는 방안에 합의했다.
남양주 앞술막마을 지하통로는 1996년경 국도 6호선 아래에 만들어져 마을진입로 역할을 해왔는 데 폭이 3m 정도로 매우 협소해 차량의 통과가 불가능함에 따라 상습적인 차량 정체와 통행 불편으로 주민들이 민원을 자주 제기했다.
특히 한강에 인접해 있고 베이커리 거리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점, 한강뮤지엄, 100세대 이상 주택들이 위치한 앞술막마을은 매년 방문객들의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좁은 지하통로로 인한 차량 정체 및 불편이 더욱 심해져 운전자 간 다툼과 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사망사고도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주민들은 국도 6호선의 관리주체인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과 도시계획도로를 관리하는 남양주시에 2016년부터 여러 차례 민원을 제기했으나 지하통로 확장 시 비용 부담 문제로 해결에 진전이 없었다.
그러던 중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2019년 말부터 ‘국도 6호선 팔당대교~와부 도로건설공사’를 시작하자 주민들은 그 도로구간에 포함되는 국도 6호선 하부 지하통로도 함께 확장해 달라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 여러 차례 요구했다. 그러나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총사업비 증액 곤란, 연결도로의 폭 협소 등을 이유로 주민들의 요구를 거부하자 국민권익위에 집단민원을 제기했다.
국민권익위는 주민 및 관계기관과 여러 차례 현장조사와 민원협의를 진행하여 기존 지하통로 옆에 신규 지하통로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으로 지하통로를 확장하고, 확장에 필요한 비용은 남양주시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반반씩 부담하며, 지하통로 확장에 발맞추어 남양주시가 지하통로와 연결된 도시계획도로 확장공사를 3년 안에 착수하기로 합의했다.
국민권익위 유철환 위원장은 “이번 조정으로 남양주 앞술막마을의 지하통로와 연결도로가 확장되면 주민과 방문객의 교통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